- Published on
Typescript 정리 -Advanced Types
- 글쓴이
📌 목차
- 1.교차타입
- 2.타입가드
- 3.구별된유니언
- 4.형변환
- 5.인덱스타입
- 6.선택적체이닝
- 7.Null병합연산자
이번에는 타입스크립트에서 지원하는 고급타입에 대해 정리했다. 자바와의 연관성은 비교적 떨어지기 때문에 타입스크립트 자체만 정리하였다.
Intersection Type
1. 교차타입 두가지 타입을 &
기호와 함께 연결시켜 사용한다.
아래 코드 처럼 Admin과 Employee를 교차타입으로 만들어 ElevatedEmployee에 할당하면, ElevatedEmployee는
두 타입에 있는 모든 멤버인 name, privileges, startDate를 모두 가지게 된다. |
기호와 함께 사용하는 유니언 타입은 두 타입중 공통 속성의 존재만 보장활 수 있다.
교차티입은 유니언 타입처럼 type 문법 뿐 아니라, interface와도 혼용해 사용가능하다. 다만 원시타입의 경우 number이면서 string인 값은 존재하지 않아 사용할 수 없다.
type Admin = {
name: string;
privileges: string[];
};
type Employee = {
name: string;
startDate: Date;
};
// interface ElevatedEmployee extends Employee, Admin {}
type ElevatedEmployee = Admin & Employee;
const e1: ElevatedEmployee = {
name: 'Tina',
privileges: ['create-server','install-instance'],
startDate: new Date()
};
type Intersect = number & string;
let num : Intersect = 1; // Type 'number' is not assignable to type 'never'.
Type Guard
2. 타입 가드 타입 가드는 런타임에 타임을 검사하도록 만드는 일종의 방식과 표현식을 의미한다. 타입스크릡트가 컴파일타임에 타입검사를 해주긴 하지만 유니언 타입을 사용하는 등의 경우에는 타입 가드를 통한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1. typeof 사용하기
원시타입끼리의 타임가드에 자주 사용하는 방식이다.
type Combinable = string | number;
function add(a: Combinable, b: Combinable) {
if (typeof a === 'string' || typeof b === 'string') {
return a.toString() + b.toString();
}
return a + b;
}
2. in 사용하기
객체를 다룰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객체의 속성 존재여부를 검사하는 방식으로 가드가 가능하다.
type UnknownEmployee = Employee | Admin;
function printEmployeeInformation(emp: UnknownEmployee) {
console.log('Name: ' + emp.name);
if ('privileges' in emp) {
console.log('Privileges: ' + emp.privileges);
}
if ('startDate' in emp) {
console.log('Start Date: ' + emp.startDate);
}
}
3. instanceof 사용하기
in
과 마찬가지로 객체의 타입을 검사할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1,2번 방식의 문제점은 타입가드시 문자열 비교하기 때문에 오타의 위험성이 있다.
instanceof
는 변수명을 통해 보다 명확한 타입 검사가 가능하다.
type UnknownEmployee = Employee | Admin;
function printEmployeeInformation2(emp: Employee) {
console.log('Name: ' + emp.name);
if (emp instanceof Employee) {
console.log('Privileges: ' + emp.privileges);
}
}
Discriminated Union
3.구별된 유니언 구별된 유니언도 타입가드의 방식이다. 객체와 유니언 타입을 사용할때, type을 명시하는 방식으로도 타입 가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위에 언급한 instanceof 방법과 같이 오타의 위험성을 줄이면서도, 타입의 속성에 접근함으로써 명시적인 타입가드가 가능해진다.
interface Bird {
type: 'bird';
flyingSpeed: number;
}
interface Horse {
type: 'horse';
runningSpeed: number;
}
type Animal = Bird | Horse;
function moveAnimal(animal: Animal) {
let speed;
switch (animal.type) {
case 'bird':
speed = animal.flyingSpeed;
break;
case 'horse':
speed = animal.runningSpeed;
}
console.log('Moving at speed: ' + speed);
}
moveAnimal({type: 'bird', flyingSpeed: 10});
Type Conversion
4. 형변환 형변환은 타입스크립트가 세세한 타입을 지원하지 못할 때 유요하다. DOM 속성에 접근하는 케이스같이. 타입스크립트에서는 HTML의 요소를 HTMLInputElement
라는 제너릭 타입으로 일괄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바닐라 자바스크립트에서 하던 것처럼 userInputElement.value
의 형태로 값에 접근하려고 시도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제너릭 타입의 속성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아래 언급된 방법 1, 방법2 중에 하나의 방법으로 처리해주어야 한다. 프로젝트 내에서는 방법을 통일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 방법1
const userInputElement = <HTMLInputElement>document.getElementById('user-input')!;
userInputElement.value = 'Hi there!';
// 방법2
const userInputElement = document.getElementById('user-input');
if (userInputElement) {
(userInputElement as HTMLInputElement).value = 'Hi there!';
}
Indexable Types
5. 인덱스 타입 타입스크립트의 인터페이스에 동적으로 속성을 추가할 수 있다. 즉, 보다 유연한 속성 사용이 가능하다. [your_name : type]: type
의 형태로 사용한다. your_name
의 우변에는 index 접근시 사용할 타입을, 대괄호 우변에는 원소의 타입을 명시한다.
해당 라인에 명시된 타입만 동적인 타입에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물론 원소의 속성에는 유니언 타입도 사용될 수 있다.
interface ErrorContainer {
[prop: string]: string;
}
const errorBag: ErrorContainer = {
email: 'Not a valid email!',
username: 'Must start with a capital character!'
};
interface TypeNumberString {
[def : number] : number | string;
}
const arr : TypeNumberString = ['a', 'b', 'c', 'd', 'e', 'f', 1 ,2 ];
console.log(arr[0]);
console.log(arr[7]);
Optional Chaining
6. 선택적 체이닝 선택적 체이닝 연산자는 ?
키워드와 함께 사용된다. 즉, 접근하고자 하는 속성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을 때 사용한다. 속성의 존재유무를 체크하지 않게 된다. 해당 문법은 typescript 3.7 버전부터 지원하는등 최근에 추가된 자바스크립트 문법임에 유의한다.
해당 연산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는 && 연산자를 이용해 체크했다. 그러나, 해당 문법은 코드의 길이가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선택적 체이닝을 남용하면 안된다. 반드시 존재해야하는 속성에 옵셔널 체이닝을 사용하는 경우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
// && 연산자 사용
alert( user && user.address && user.address.street ); // undefined (에러 미발생)
// 선택적 체이닝 사용
alert( user?.address ); // undefined (user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정)
alert( user?.address?.street ); // undefined (user와 address가 존재하지않는 경우 상정)
Nullish Coalescing Operator
7. Null 병합 연산자 옵셔널 체이닝과 마찬가지로 최신 문법이다. 삼항연사자를 이용해 null 또는 undefined인 경우를 처리하면 코드의 길이가 길어진다. null 병합 연산자인 ??
사용해
null과 undefined에 대해 보다 심플한 문법으로 처리를 할 수 있다.
x = (a !== null && a !== undefined) ? a : b;
x = a ?? b
References
- https://www.typescriptlang.org/docs/handbook/advanced-types.html
- https://www.typescriptlang.org/docs/handbook/interfaces.html#indexable-type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5114590/what-are-indexable-types-in-typescript
-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Operators/Optional_chaining
- https://ko.javascript.info/optional-chaining
- https://ko.javascript.info/nullish-coalescing-operator